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큰개별꽃 &개별꽃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개별꽃속 서식지 숲 속 학명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1-4개가 함께 달리는데, 개별꽃처럼 굵어지지 않는다. 줄기는 높이 10-20cm이고, 겉에 털이 2줄로 난다.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에 항상 1개씩 달리고, 흰색이다. 꽃자루에 털이 없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5-8장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3개다. 열매는 삭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일본에 분포한다. ↓ 개별꽃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개별꽃속 서식지 숲 속 학명 Pseudostellar.. 더보기
보문정 (봄) 더보기
금창초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조개나물속 서식지 풀밭, 나지, 밭두렁, 길가, 마을 근처 학명 Ajuga decumbens Thunb. 국내분포 경상남도, 울릉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해외분포 중국, 대만, 일본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하며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옆으로 벋고 전체에 털이 있다. 근생엽은 방사상으로 퍼지고 길이 4~6cm, 너비 1~2cm 정도의 넓은 피침형이다. 마주나는 경생엽은 길이 15~30mm 정도의 긴 타원형이다. 5~6월에 3~5개씩 달리는 꽃은 짙은 자주색이다. 열매는 길이 2mm 정도의 난상 구형으로 그물맥이 있다. ‘조개나물’에 비해 줄기는 땅위를 기고 꽃줄기는 모여 난다. 어릴 때에는 .. 더보기
꿩의바람꽃 #2 더보기
큰괭이밥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괭이밥과(Oxalidaceae) 학명 Oxalis obtriangulata Maxim. 북한명칭 큰괭이밥풀 본초명 작장초(酌漿草, Zhuo-Jiang-Cao), 초장초(酢漿草, Cu-Jiang-Cao) 다년생 초본으로 땅속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땅속줄기의 마디에서 나오는 잎은 3~5개가 모여 나고 긴 잎자루 끝에 달린 3개의 소엽은 옆으로 퍼진다. 소엽은 길이 3cm, 너비 4~6cm 정도의 도삼각형 절두이며 상단의 중앙부가 약간 파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다. 4~5월에 개화하며 화경 끝에 달리는 1개의 꽃은 백색이다. 삭과는 길이 2cm 정도의 원주상 난형이다. 신맛이 있어 생으로 먹는다. ‘애기괭이밥’과 달리.. 더보기
솜방망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솜방망이속 서식지 햇볕이 잘 드는 산지와 초지 학명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부 및 동북부, 대만, 일본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부 및 동북부, 대만,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식물체 전체에 거미줄 같은 솜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70cm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며, 꽃이 필 때도 남아 있고, 타원형이다. 줄기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밑이 줄기를 조금 감싼다. 꽃은 4-5월에 머리모양꽃 3-9개가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 가장자리에 혀모양꽃이 있다. 총포는 통.. 더보기
연복초 분류 연복초과 서식지 토양이 비옥한 반그늘 꽃색 황록색 크기 키는 약 8~15㎝ 정도 학명 Adoxa moschatellina L. 용도 관상용 분포지역 우리나라 가야산 이북의 북부 지역과 광릉, 북부 지방, 북반구의 온대부터 한대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4~5월 복수초에 연이어 꽃을 피우는 연복초는 가야산 이북의 북부 지역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도감에는 북부 이북의 높은 산에 분포한다고 나오지만 남부 지방에도 넓게 분포하고 있다. 토양이 비옥한 반그늘에서 서식하며, 키는 8~15㎝ 정도로 아주 작다. 뿌리줄기는 가늘며 짧고 비늘조각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는 땅속줄기가 있다. 봄날 연복초를 발견하면 여간 기쁜 게 아니다. 복수초가 복과 장수를 기원한다면 연복초 역시 복을 주는 식물이.. 더보기
할미꽃 #2 왠지 꽃도 슬프고 외롭다.. 더보기
까마귀밥나무 까마귀밥나무는 콩알 굵기에 꼭지가 조금 볼록한 빨간 열매가 특징인 작은 나무다. “까마귀의 밥이 열리는 나무”란 뜻인데, 다른 이름인 까마귀밥여름나무는 보다 구체적으로 까마귀밥이 되는 여름(열매의 옛말)이 열린다는 말이다. 열매는 쓴맛이 나며, 특별한 독성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먹을 수는 없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까마귀나 먹으라고 붙여준 이름인 것 같다. 까마귀밥나무는 전국 어디에서나 자라며 키가 허리춤 남짓한 난쟁이 갈잎나무다. 잎은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긴 잎자루를 갖고 있으며, 어긋나기로 가지에 붙어 있다. 암수 딴 나무로 꽃은 봄에 핀다. 꽃이라고 해봐야 손톱 크기에 다섯 개의 작은 꽃잎이 정종 술잔모양의 꽃통을 둘러싸고 있는 특별한 꽃이다. 다행히 잎이 나오면서 초록을 배경으로.. 더보기
애기자운 학명 Gueldenstaedtia verna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장미목 과 콩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몽골 서식장소/자생지 평북 낭림산 이북과 대구시, 경상북도 경산시, 칠곡군의 양지바른 풀밭 크기 높이 5~20㎝ 꽃의 색 보라색, 드물게 흰색 또는 연한 홍자색 개화시기 4~5월(7~8월) 잎의 형태 깃꼴겹잎,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타원형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식물체가 작고 꽃이 자운영을 닮았다는 뜻의 이름이며, ‘털새동부’라고도 한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5~20㎝이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기하고 4~9쌍의 작은잎(소엽)으로 된 깃꼴겹잎(우상복엽)이다.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잎자루와 함께 기다란 흰색 털로 덮인다. 꽃이 7.. 더보기
가는잎조팝나무 & 영춘화 ↓ 영춘화 더보기
달래꽃 4~6월에 잎 사이에서 길이 5~12cm로 잎보다 짧은 1개의 꽃대가 나와 그 끝에 1~2개가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리는데 10여 개의 잔꽃이 모여 탁구공 만하게 핀다. 양성화이다. 잔꽃의 길이는 4~5mm이며 흰색이거나 붉은빛이 도는데 막질이고 달걀꼴의 꽃턱잎이 있다. 꽃잎은 6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달걀꼴이며 같은 수의 수술보다 길거나 같다. 암술머리는 셋으로 갈라진다. 꽃말은 청념, 신념이다. 더보기
산괴불주머니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현호색과(Fumariaceae) 학명 Corydalis speciosa Maxim. 북한명칭 산뿔꽃 본초명 황근(黃菫, Huang-Jin)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곧추서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30~60cm 정도이며 전체에 분록색이 돌고 속이 비어 있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10~15cm 정도로서 난상 삼각형이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4~6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피는 꽃은 황색이다. 삭과는 길이 2~3cm 정도의 선형으로 염주같이 잘록잘록하며 종자는 흑색이고 둥글며 오목하게 파인 점이 있다. ‘괴불주머니’와 비슷하지만 종자 표면에 오목점이 많고 ‘염주괴불주머니’와 달리 개.. 더보기
히어리 & 미선나무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조록나무과 > 히어리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산 크기 약 1m ~ 2m 학명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Yamaz. 꽃말 봄의 노래 조록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한국 특산종으로 지리산 일대에 서식한다. 나무는 1~3m에서 크게는 4~7m까지 자라며, 꽃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색깔은 연한 황록색이다. 최대 군락지는 순천이고, 하동에도 대규모 군락이 발견된 바 있다. 한국 특산종으로 개체수를 보호하기 위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 보호종으로 지정되어있다. 꽃말은 봄의 노래. ↓ 미선나무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물푸레나무과 > 미선나무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더보기
남산제비꽃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측막태좌목 > 제비꽃과 > 제비꽃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일본) 서식지 산지 크기 약 5cm ~ 20cm 학명 Viola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다년생초. 대한민국과 일본이 원산지이고, 산지에 서식한다. 크기는 5~20cm 정도이다. 꽃은 봄에서 늦봄 사이에 하얀색으로 피고, 꽃말은 ‘성실’, ‘교양’, ‘품위 있는 가인’, ‘나를 생각해 다오’, ‘소박함’, ‘순진무구한 사랑’이다. 더보기
날개현호색 학명 Corydalis alata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양귀비목 과 현호색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역 한국 서식장소/자생지 경상북도 포항시와 경주시 일대의 산지 크기 높이 7~20㎝ 꽃의 색 청자색, 드물게 흰색 또는 분홍색 개화시기 3~4월 잎의 형태 1~2회 3출엽,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 아래쪽 바깥꽃잎의 밑부분이 날개 모양이고 현호색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7~20㎝이다. 땅속에 구형의 덩이줄기가 있으며, 2010년에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1~2회에 걸쳐 작은잎(소엽)이 3개씩 달리는 3출엽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현호색처럼 표면에 흰 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꽃은 3~4월에 줄기 끝에 청자색으로 피며,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