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은방울꽃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백합과(Liliaceae) 학명 Convallaria keiskei Miq. 본초명 노려화(蘆藜花, Lu-Li-Hua), 영란(鈴蘭, Ling-Lan), 초옥령(草玉鈴, Cao-Yu-Ling) 다년생 초본으로 땅속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 가장자리의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군락으로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마디에서 새순이 지상으로 나오며 밑부분에 수염뿌리가 있다. 화경은 7~15cm 정도로서 잎보다 짧다. 밑에는 막질의 초상엽이 있고 그 속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밑부분을 서로 감싸고 있다. 잎몸은 길이 12~18cm, 너비 3~7cm 정도로서 난상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흰빛이 돈다. 5~6월에 개화.. 더보기
지느러미엉겅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지느러미엉겅퀴속 서식지 들판, 밭, 공터, 길가 학명 Carduus crispus L.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전국의 들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70-120cm, 속이 비어 있다. 줄기 겉에 세로로 난 능선은 날개처럼 되며, 단단한 가시가 있다. 뿌리잎은 꽃이 피기 전에 마르며, 줄기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5-20cm, 폭 10-15cm이다. 잎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게 갈라지며, 굳은 가시가 있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5-8월에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진한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머리모양꽃은 관모양꽃으로만 이루어지며, 지름 1.5-3.0cm이다. 모인.. 더보기
병꽃나무 분류 산토끼꽃목 > 인동과 > 병꽃나무속 꽃색 노란색, 녹색 학명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꽃말 전설 개화기 5월 병꽃나무는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갈잎 작은 나무다. 여러 그루가 모여 포기를 이루고, 키가 2~3미터 정도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타원형이며 잔 톱니를 가진다. 열매는 잔털이 촘촘하고 9월에 익으며, 갈라지지 않을 때는 역시 병모양이다. 병꽃나무 종류는 우리나라에 다섯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흔한 것은 병꽃나무와 붉은병꽃나무다. 이 둘은 꽃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 병꽃나무는 꽃받침이 아래까지 세로로 완전히 갈라지고, 붉은병꽃나무는 꽃받침의 중간까지만 갈라진다. 흔하지는 않지만 삼색병꽃나무도 있다. 이름 그대로 한 나무에 세 가지 .. 더보기
분홍벌깨덩굴 벌깨덩굴 꽃색이 분홍인것을 처음 만나서 신기했는데 흰색도 있다고 한다. 언제나 만나지려나? 더보기
갯봄맞이 분류 식물계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앵초목 > 앵초과 서식지 바닷가나 바닷가 근처의 습지 크기 높이 5∼20cm 학명 Glaux maritima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국내분포 함경도, 강원도 속초, 경북 포항, 울산 당사해안 일원 분포지역 북방계 희귀식물로 일본, 사할린, 연해주, 북아메리카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북방계 식물로 바닷가 근처의 습지에서 자란다. 잎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윤이 난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5~9월에 잎의 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핀다. 한반도에는 북부지방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0년대 이후 속초, 포항 등지에서 발견된 바 있으며 2013년에는 울산의 당사해안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보기
아구장나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조팝나무속 서식지 깊은 산의 건조한 바위틈 학명 Spiraea pubescens Turcz. 국내분포 중부 이북 해외분포 러시아(극동), 몽골, 중국(동북부) 깊은 산의 건조한 바위틈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높이는 1.5-2m쯤이다. 묵은가지는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연한 갈색으로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수피는 짙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1-3cm, 폭 0.8-1.5cm이다. 잎자루는 짧고 흰 갈색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어린 가지 끝에서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흰색이고 수술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골돌과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자생한다. 러시아, 몽골,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더보기
큰꽃으아리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Clematis patens C. Morren & Decne. 본초명 위령선(威靈仙, Wei-Ling-Xian), 전자련(轉子蓮, Zhuan-Zi-Lian), 철전련(鐵傳蓮, Tie-Chuan-Lian) 낙엽성 반관목의 덩굴식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숲에서 자란다. 길이 2~4m 정도로 벋는 덩굴줄기는 가늘고 길며 잔털이 있다. 마주나는 잎은 3출 또는 우상복엽이고, 3~5개의 소엽은 길이 4~10cm 정도의 난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5~6월에 개화하며 꽃은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수과는 난형으로 갈색 털이 있는 긴 암술대가 그대로 달려 있다. ‘위령선’과 달리 꽃자루에 포가 .. 더보기
덩굴꽃마리 분류 지치과 서식지 햇볕이 잘 들고 물이 잘 빠지는 곳 크기 키는 약 7~20㎝ 정도 학명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용도 관상용, 어린순은 식용 분포지역 우리나라 중부, 남부 지방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5~6월 결실기 9월경 덩굴꽃마리는 중부 이남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들고 물이 잘 빠지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키는 7~20㎝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의 둘레는 밋밋하고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잎 길이는 3~5㎝, 폭은 1.5~2.5㎝가 된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자라는데, 전체에 두터운 털이 나 있다. 더보기
선개불알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현삼과 > 개불알풀속 서식지 길가, 밭, 빈터 학명 Veronica arvensis L. 국내분포 중부 이남 해외분포 서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동아시아, 북미(귀화) 길가나 빈터에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0-30cm, 둥글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가는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윗부분에서 어긋나기도 한다. 잎자루는 없다. 잎몸은 넓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 길이 1-2cm, 폭 0.7-1.5cm, 양 끝은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포엽의 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린다. 꽃자루는 짧거나 없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파란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서아시아, 아프리카 .. 더보기
앵초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앵초목 > 앵초과 > 앵초속 서식지 산지의 계곡 주변, 시냇가, 습지 학명 Primula sieboldii E. Morren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전국의 냇가 부근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비스듬히 서며 잔뿌리가 내린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앞면에 주름이 진다. 잎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잎 사이에서 나는 꽃줄기에 7-20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달리며, 붉은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꽃자루의 겉에 돌기 같은 털이 있다. 꽃자루 밑의 포는 피침형이다. .. 더보기
벼룩나물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석죽과(Caryophyllaceae) 학명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Thunb.) Ohwi 북한명칭 애기별꽃 본초명 작설초(雀舌草, Que-She-Cao), 조철(蚤綴, Zao-Zhui), 천봉초(天蓬草, Tian-Peng-Cao), 한초(寒草, Han-Cao)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밭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15~25cm 정도이며 털이 없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나와서 모여 나는 것처럼 보인다.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고 잎몸은 길이 6~12mm, 너비 3~4mm 정도의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4~5월에 개화한다. 취산꽃차례로 달리는 꽃은 백색이다. 삭과는 타.. 더보기
금난초 분류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은대난초속 서식지 낮은 산지 학명 Cephalanthera falcata (Thunb.) Lindl. 국내분포 경기도 이남 해외분포 일본, 중국 낮은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뿌리는 몇 개가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70cm이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6-10장이 어긋나며 세로 주름이 조금 진다. 잎 아래쪽은 줄기를 감싸고, 잎 끝은 뾰족하다. 꽃은 4-6월에 피며, 노란색으로 3-10개가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활짝 벌어지지 않는다. 곁꽃잎은 꽃받침보다 조금 짧고, 입술꽃잎은 3갈래다. 우리나라 경기도 이남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더보기
새모래덩굴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방기과(Menispermaceae) 학명 Menispermum dauricum DC. 본초명 광두근, 만주방기, 북두근, 산두근, 편복갈 낙엽성 관목의 덩굴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덩굴줄기는 길이 1~3m 정도이고 털이 없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길이와 너비가 각각 5~10cm 정도인 심장형으로 3~7각이거나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의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6~7월에 개화한다. 원추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연한 황색이다. 열매는 지름 0.5~1cm 정도로 둥글고 흑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편평하고 지름 7mm 정도의 둥근 신장형으로 요철이 심한 홈이 있다. ‘함박이’와 달리.. 더보기
큰물칭개나물 ↓ 물냉이 더보기
유럽개미자리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목: 석죽목 과: 석죽과 속: 갯개미자리속 종: 유럽개미자리 학명 Spergularia rubra J.Presl & C.Presl, 1819 유럽개미자리는 유라시아 원산의 식물이며, 한국에서는 귀화식물로서 제주도와 지리산 등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5~30cm정도이다. 줄기는 여러 대가 땅을 기면서 방석 모양을 이루고 자라고 끝에서 위를 향해 자라며 전체에 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게 달리고 선형이며 짧은 샘털이 있다. 5-8월에 가지 끝과 옆겨드랑이에서 분홍색 꽃이 핀다. 꽃잎은 꽆받침보다 짧다. 꽃잎수는 5개이며 꽃받침은 피침형이고 뒷면 주맥을 따라 샘털이 있다. 수술은 6-10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난형.. 더보기
벌깨덩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벌깨덩굴속 서식지 산지의 숲 안 또는 가장자리 학명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전국의 산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러시아,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사각형이며, 꽃이 진 후에 옆으로 길게 뻗는다. 잎이 5쌍쯤 마주난다. 잎몸은 심장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4-6월에 꽃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한 쪽을 향해 피며, 보라색이다. 꽃받침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의 윗입술은 2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아랫입술은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며, 뒤에 있는 2개가 길다. 열매는 소견과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