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꽃마리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지치과 원산지 아시아 서식지 들, 밭둑, 길가 크기 약 10cm ~ 30cm 학명 Trigonotis peduncularis 꽃말 나를 잊지 마세요, 나의 행복 용도 무침용, 약용, 양조용 등 통화식물목 지치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아시아가 원산지로 아시아 온대와 난대지역 및 한국 전역에 분포한다. ‘잣냉이’라고도 불리며 들이나 습기가 있는 밭둑, 길가에서 자란다. 식물 전체에 복모가 있으며, 잎 모양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다. 꽃은 줄기나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태엽처럼 풀리면서 개화한다. 이른봄 해가 잘 비치는 양지에서 몇 개체씩 모여 핀다. 봄에 어린순을 캐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잦은 소변 증세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더보기
모래지치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지치과 > 모래지치속 서식지 바닷가 모래땅 학명 Argusia sibirica (L.) Dandy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25-4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주걱 모양, 길이 4-10cm, 폭 1-3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양면에 털이 많다. 꽃은 5-6월에 피며, 가지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흰색으로 향기가 있다. 꽃받침과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며, 화관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근 타원형으로 조금 다육질이고, 둔한 홈이 4개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더보기
개구리자리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Ranunculus sceleratus L. 북한명칭 습바구지 본초명 석룡예(石龍芮, Shi-Long-Rui), 야근채(野芹菜, Ye-Qin-Cai), 호초채(胡椒菜, Hu-Jiao-Cai)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개울가와 습지와 논에서 자란다. 줄기는 물기가 많은 육질이고 높이가 40~60cm 정도로 자란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으며 윤기가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밑부분이 막질로서 퍼지고 잎자루가 없으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으로 끝이 둔하다. 5~6월에 개화하며 소화경에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1m.. 더보기
뽀리뱅이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Youngia japonica (L.) DC. 본초명 고채약(苦菜藥, Ku-Cai-Yao), 귀전평자(鬼田平子, Gui-Tian-Ping-Zi), 황과채(黃瓜菜, Huang-Gua-Cai)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모여 나는 원줄기는 높이 20~8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길이 8~25cm, 너비 1.7~6cm 정도의 도피침형으로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8~12cm 정도의 선상 피침형으로 된다. 5~6월에 원추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7~8mm 정도로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1.5.. 더보기
난쟁이아욱 분류 아욱목 > 아욱과 > 아욱속 꽃색 자주색, 붉은색 학명 Malva neglecta Wallr. 개화기 5월 북미,아시아 등지에 귀화 경북, 영일의 장기곶 해변마을에 군생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2년생초본이다. 길이 50㎝내외이고 잎은 8-10㎝정도의 잎자루와 거의 원형의 잎몸으로 기부는 깊은 심장형이다. 꽃은 마디에 2-5개 속생하며 지름 1-1.5㎝이고 꽃대는 1㎝내외이다. 3작은포가고, 꽃받침은 5열이고 꽃잎은 5개로 꽃받침 길이의 2-3배로 10㎜이다. 백색 또는 홍자색의 맥이 있어 담홍자색을 띤다. 열매는 12-15개의 분과로 이루어지고 분과의 표면에 털이 많다. 줄기 아래쪽은 지면을 기면서 마디에서 발근하며 윗쪽은 비스듬히 자란다. 길이 50㎝내외이다.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더보기
살갈퀴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콩과(Fabaceae) 학명 Vicia angustifolia var. segetilis (Thuill.) K. Koch. 북한명칭 살말굴레풀 본초명 대소채(大巢菜, Da-Chao-Cai), 착엽야완두(窄葉野豌豆, Zhai-Ye-Ye-Wan-Dou)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밭이나 들과 산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이며 옆으로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의 단면이 네모가 지고 전체에 털이 있다. 어긋나는 잎에 있는 우수 우상복엽의 6~14개의 소엽은 길이 2~3cm, 너비 4~6mm 정도의 도란형이다. 5월에 피는 꽃이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며 홍자색이다. 열매는 길이 3~4cm 정도로 편평하고 털이.. 더보기
타래붓꽃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붓꽃과(Iridaceae) 학명 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본초명 마린근(馬藺根, Ma-Lin-Gen), 마린화(馬藺花, Ma-Lin-Hua), 마해(馬?, Ma-Xie), 여실(?實, Li-Shi), 여화엽(?花葉, Li-Hua-Ye)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풀밭의 습지에서 자란다. 근경에서 모여 나는 화경은 높이 15~25cm 정도이다. 선형의 잎은 길이 30~40cm, 너비 4~8mm 정도로 녹색이나 밑부분이 연한 자줏빛이 돈다. 잎 전체가 약간 비틀려서 꼬이기 때문에 ‘타래붓꽃’이라 한다. 5~6월에 개화하고 잎보다 짧은 화경에 향기가 있는 연한 보라색 꽃이 달리며 꽃잎은 .. 더보기
왕벚꽃 더보기
밤나무혹벌 충영 계: 동물계 문: 선형동물문 강: 곤충류 목: 벌목 과: 절지동물문 속: 밤나무혹벌속 종: 밤나무혹벌(B. xylophilus)학명 Dryocosmus kuriphilus 밤나무혹벌(Dryocosmus kuriphilus)는 곤충류의 한 종이다, 밤나무의 눈에 기생하여 충영을 만들기에 해충으로 분류된다. 1941년 일본 오까야마현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대한민국에는 1959년 충북 제천에서 처음 피해가 확인되었다.밤나무 눈에 기생하여 직경 10∼15mm의 충영을 만든다.충영은 성충 탈출후인 7월 하순부터 말라죽으며 신초가 자라지 못하고 개화, 결실이 되지 않는다.피해목은 대부분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성충은 몸길이가 약 3mm로 광택이 있는 흑갈색이고 날개는 투명, 촉각은 흑색이며 복부는 황갈색이다.유충은.. 더보기
애기나리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백합과(Liliaceae) 학명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본초명 백미순(百尾?, Bai-Wei-Sun), 보주초(寶珠草, Bao-Zhu-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숲 속에서 자란다. 근경은 옆으로 벋으며 줄기는 높이 35~70cm 정도로 자라고 밑부분이 잎집 같은 잎으로 둘러싸인다. 어긋나는 잎은 길이 6~12cm, 너비 2~5cm 정도의 긴 타원형이고 3~5개의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와 뒷면 위에 작은 돌기가 있다. 5~6월에 개화하며 꽃은 밑을 향해 달리고 6개의 꽃잎은 연한 녹색이다. 열매는 지름 7mm 정도로 둥글며 흑색으로 익는다. ‘애기나리’와 비슷하지만 가지가 보다 많이 갈라.. 더보기
쇠물푸레나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물푸레나무과 > 물푸레나무속 서식지 숲 속 학명 Fraxinus sieboldiana Blume 국내분포 강원도 이남 해외분포 일본 숲 속에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5-10m, 어린 가지는 회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9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길이 5-10cm, 폭 2-4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며, 햇가지 끝에서 난 길이 10cm쯤의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흰색이다. 꽃잎은 4장이며, 선형, 수술과 길이가 같다. 수술은 2개다. 암꽃에 퇴화된 작은 수술이 있다. 열매는 시과이며, 피침형, 날개가 있다. 우리나라 강원도 이남에 자생한다. 일본에 분포한다. 껍질을 약용한다. 더보기
미나리냉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풍접초목 > 십자화과 > 황새냉이속 서식지 산지의 계곡, 시냇가 학명 Cardamine leucantha (Tausch) O. E. Schulz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 전국의 냇가와 계곡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7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7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작은 잎은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4-6월에 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피며,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타원형, 녹색이다. 꽃잎은 타원형이다. 수술은 6개, 4강웅예다.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장각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더보기
가침박달나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벚나무속 서식지 숲, 삼림의 가장자리, 경사지, 계곡이나 물가 주변 지대 학명 Prunus padus L.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몽골,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프랑스와 지중해 지역을 제외한 유럽시대 현대 분류 장미과 가침박달속 원산지 한국, 중국 서식지 중부 이북 성격 식물, 나무 유형 동식물 크기 높이 1∼5m 학명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분야 과학/식물 개화기 4∼5월 가침박달은 장미과에 속하는 작은 나무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베이징 및 랴오닝성 일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북의 건조한 석회암 및 퇴적암 지역의 풀밭, 화강암 바위지대에서 드물게 자란다. 학명은 Exochorda serratifol.. 더보기
긴병꽃풀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꿀풀과(Lamiaceae) 학명 Glechoma grandis (A. Gray) Kuprian. 본초명 강소금전초(江蘇金錢草, Jiang-Su-Jin-Qian-Cao), 과산룡(過山龍, Guo-Shan-Long), 금전초(金錢草, Jin-Qian-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30~50cm 정도로 옆으로 벋으며 높이 10~20cm 정도로 곧추서기도 한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15~25mm, 너비 2~3cm 정도인 신장상 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개화하며 연한 자주색이다. 열매는 길이 1.8mm 정도의 타원형이다. ‘개박하’에 비해 줄기는 눕고 잎은 난형 또.. 더보기
금낭화 분류 양귀비과 꽃색 담홍색 학명 Dicentra spectabilis 개화기 5월~6월 처음에는 중국이 원산지로 여겨졌으나 한국의 천마산, 가평, 설악산, 전북 완주 등지의 중부지역 산지에서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어 한국도 원산지임이 밝혀졌다. 강원도 일대에 여행을 하다보면 집집마다 화단에 심어 가꾸는 인기 있는 원예종이다. 보통 2년은 가꾸어야 예쁜 꽃을 볼 수 있다. 꽃은 5∼6월에 옅은 분홍색으로 피어난다. 줄기 끝에 차례로 피어나고 꽃모양은 볼록한 주머니 모양이다. 꽃잎은 4개가 모여서 심장모양으로 되고 바깥 꽃잎 2개는 밑 부분이 꿀주머니로 된다. 안쪽 꽃잎 2개가 합쳐져서 관 모양의 돌기가 된다. 꽃받침 잎은 2개로 가늘고 작은 비늘 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6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더보기
갯완두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콩과(Fabaceae) 학명 Lathyrus japonicus Willd. 본초명 대두황권(大豆黃卷, Da-Dou-Huang-Juan), 해변향완두(海邊香豌豆, Hai-Bian-Xiang-Wan-Dou) 다년생 초본으로 땅속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해안지방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길이 20~60cm 정도로 옆으로 길게 자라서 곧추서며 능각이 있다. 어긋나는 잎은 우수 우상복엽이고 끝의 덩굴손은 1개이나 2~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6~12개의 소엽은 길이 15~30mm, 너비 10~20mm 정도의 난형으로 분백색이 돈다. 5~6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는 꽃은 적자색이다. 꼬투리는 길이 5cm, 너비 1cm 정도이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