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노랑제비꽃 더보기
선씀바귀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Ixeris strigosa (H. Lev. et Vaniot) J. H. Pak et Kawano 본초명 고거(苦苣, Ku-Ju), 고채(苦菜, Ku-Cai), 사엽고채(絲葉苦菜, Si-Ye-Ku-Cai), 산고매(山苦買, Shan-Ku-Mai), 활혈초(活血草, Huo-Xue-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에서 자란다. 모여 나는 원줄기는 높이 20~4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길이 8~24cm, 너비 5~15mm 정도의 도피침상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로 된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1~3.. 더보기
반디지치 #2 더보기
벼룩이자리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석죽과(Caryophyllaceae) 학명 Arenaria serpyllifolia L. 본초명 소무심채(小無心菜, Xiao-Wu-Xin-Cai), 조철(蚤綴, Zao-Zhui)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10~25cm 정도로서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모여 난 것처럼 보인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4~8mm, 너비 2~5mm 정도의 난형으로 양끝이 좁으며 잎자루가 없다. 4~5월에 개화하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10mm 정도의 화병이 나와 백색의 꽃이 달리며 전체적으로 잎이 달리는 취산꽃차례로 된다. 삭과는 길이 3mm 정도의 난형으로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길이 0.. 더보기
줄딸기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산딸기속 서식지 산의 햇볕이 잘 드는 숲 크기 길이 2m 학명 Rubus oldhamii Miq. 꽃말 애정, 존중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로 일본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길이 2-3m,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끝의 작은 잎은 마름모꼴 난형,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햇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연한 분홍색 또는 드물게 흰색을 띤다. 꽃자루는 가시가 난다. 꽃잎은 타원형이며, 길이 1cm쯤이다. 열매는 복과이며, 둥글고, 7-8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가 덩굴지어 자라므로 ‘덩굴딸기’라고도 부른다. 열매를 먹을 수 있다. 더보기
솜양지꽃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장미과(Rosaceae) 학명 Potentilla discolor Bunge 본초명 계각초(鷄脚草, Ji-Jiao-Cao), 번백초(翻白草, Fan-Bai-Cao), 토율(土栗, Tu-Li) 다년생 초본으로 괴근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바닷가와 산이나 들의 양지 바른 곳에 자란다. 잎 표면은 녹색으로 전체에 솜 같은 털이 밀생하여 분백색을 나타내며 뿌리가 몇 개로 갈라져서 방추형으로 굵어지고 원줄기는 높이 15~40cm 정도로서 비스듬히 자란다. 어긋나는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고 기수우상복엽으로 3~4쌍의 소엽이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3출엽이고 소엽은 길이 2~5cm, 너비 1~2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7월에 개화하는 취산꽃차례에 달리는.. 더보기
조개나물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조개나물속 원산지 아시아 (중국,대한민국) 서식지 산, 들 크기 약 30cm 학명 Ajuga multiflora Bunge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중국과 한국이 원산지이고, 산과 들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30cm이다. 전체적으로 털이 나 있는 것이 특징이며, 꽃은 늦봄에서 초여름까지 핀다. 꽃말은 ‘순결’, ‘존엄’이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이뇨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더보기
으름덩굴 학명 Akebia quinata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미나리아재비목 분포지역 한국(황해도 이남)·일본·중국 서식장소/자생지 산과 들 크기 길이 약 5m 으름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길이 약 5m이다. 가지는 털이 없고 갈색이다. 잎은 묵은 가지에서는 무리지어 나고 새가지에서는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잎은 5개씩이고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약간 오목하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4∼5월에 자줏빛을 띤 갈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없고 3개의 꽃받침조각이 꽃잎같이 보인다. 수꽃은 작고 6개의 수술과 암꽃의 흔적이 있으며, 암꽃은 크고 3∼6개의 심피가 있다. 꽃받침은 3장, 열매는 장과(漿果)로서 긴 타원형.. 더보기
애기송이풀 분류군 식물 학명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et Ohwi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 진정쌍자엽식물(Eudicots) > 국화군(Asterids) 목 : 꿀풀목(Lamiales) 과 : 현삼과(Scrophulariaceae) 속 : 송이풀속(Pedicularis) 지위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적색목록 취약(VU) 한국 고유종 애기송이풀은 광합성으로 영양분을 만들면서 다른 식물에게서 영양분과 수분을 얻기도 하는 반기생성 식물이다. 송이풀 종류는 해발 2,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자라는 대표적 고산식물인데, 특이하게도 애기송이풀은 저지대의 계곡 주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전국의 자생지가 10여 곳만 남았을 정도로 희귀하지만, .. 더보기
애기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원지목 > 원지과 > 원지속 서식지 산과 들 학명 Polygala japonica Houtt.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우수리), 일본, 중국(동북부)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모여 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서고, 높이 10-2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 길이 1-3cm, 폭 0.2-1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며,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며, 양쪽 2장이 보다 크다. 꽃잎은 3장이며, 밑에서 서로 붙는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납작하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더보기
큰구슬붕이 분류 용담목 > 용담과 > 용담속 꽃색 자주색 학명 Gentiana zollingeri Faw. 꽃말 희소식 개화기 6월, 5월 전국 산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두해살이풀 높이 5~10cm 근생엽은 줄기잎보다 작고 줄기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밑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엽초로 되며 길이 5-12mm, 나비 3-10mm로서 가장자리가 두껍고 백색이며 잔돌기가 있고 뒷면은 흔히 적자색이 돈다. 꽃은 5~6월에 피며 자줏빛이 돌고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몇 개씩 모여 달리며 화경이 극히 짧거나 없다. 꽃받침통은 길이 5~7mm이고 5개로 중열하며 길이 5-7mm이고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게 뾰족하고 판통 길이의 1/2정도이며 꽃부리는 길이 18-25mm로서 꽃받침보다 2.. 더보기
반디지치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지치과 > 지치속 서식지 풀밭, 모래땅 학명 Lithospermum zollingeri A. DC. 국내분포 중부 이남 해외분포 타이완, 일본, 중국(남부) 양지바른 풀밭이나 모래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는 15-25cm이고, 전체에 거친 털이 있다. 줄기는 꽃이 진 다음에 옆으로 벋는 가지가 자라서 뿌리를 내리며, 다음해에 새싹과 꽃줄기가 올라온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2-6cm, 폭 0.5-2cm, 밑부분은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끝은 날카롭다. 화관은 녹자색이고 깔때기 모양이다. 열매는 소견과.. 더보기
분꽃나무 분류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산분꽃나무속 꽃색 붉은색, 백색 학명 Viburnum carlesii Hemsl. 개화기 4월, 5월 일본;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남북도 등의 주로 서해안에 분포.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m.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6(10)cm × 4 ~ 5(7)cm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 별모양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에 별모양 털이 밀생하고 잎자루는 길이 5 ~ 10mm이다. 꽃은 4월 중순 ~ 5월 중순에 피고 취산꽃차례는 전년지 끝 또는 1쌍의 잎이 달려있는 짧은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이 5 ~ 7cm이고, 꽃은 잎과 같이 피고 지름 1 ~ 1.4cm로 연한 붉은색이며, 꽃부리는 판통 길이와 폭이 각.. 더보기
제비꿀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단향과(Santalaceae) 학명 Thesium chinense Turcz. 북한명칭 더위마름풀 본초명 백예초(百蕊草, Bai-Rui-Cao), 토하고초(土夏枯草, Tu-Xia-Ku-Cao), 하고초(夏苦草, Xia-Ku-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다른 식물의 뿌리에 반 기생하지만 정상적인 영양체를 가진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이나 들의 양지에서 자란다.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 나며 높이 10~25cm 정도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나 흰빛이 돈다. 어긋나는 선형의 잎은 길이 2~4cm, 너비 1~3mm 정도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5~6월에 개화하며 흰색의 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짧은 대가 있거나 없다. 열매는 .. 더보기
각시붓꽃 분류 백합목 > 붓꽃과 > 붓꽃속 꽃색 보라색 학명 Iris rossii Baker 개화기 5월, 4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고 중국 동부와 일본 남부에 분포한다. 꽃대는 높이 5-15cm이며 잎은 길이 30cm에 이른다. 꽃이 필 때의 잎은 꽃대와 길이가 거의 같지만 꽃이 진 다음 자라며 길이 30cm, 나비 2~5mm로서 주맥이 뚜렷치 않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가장자리 윗부분에 잔돌기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꽃대 선단에 지름 3.5-4cm로서 자주색이며 판통은 길이 4-6cm이고 화경은 높이 5-15cm로서 4-5개의 포가 있으나 가장 위의 포에서 1개의 꽃이 핀다. 포는 녹색이며 길이 4~6cm로서 선형이고 예첨두이며 꽃자루는 길이 8mm로서 씨방보다 길다. 외꽃덮이는 좁은.. 더보기
족두리풀. 선괭이눈. 천남성. ↓ 선괭이눈 ↓ 천남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