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날개현호색 학명 Corydalis alata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양귀비목 과 현호색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역 한국 서식장소/자생지 경상북도 포항시와 경주시 일대의 산지 크기 높이 7~20㎝ 꽃의 색 청자색, 드물게 흰색 또는 분홍색 개화시기 3~4월 잎의 형태 1~2회 3출엽,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 아래쪽 바깥꽃잎의 밑부분이 날개 모양이고 현호색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7~20㎝이다. 땅속에 구형의 덩이줄기가 있으며, 2010년에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1~2회에 걸쳐 작은잎(소엽)이 3개씩 달리는 3출엽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점현호색처럼 표면에 흰 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꽃은 3~4월에 줄기 끝에 청자색으로 피며, 2~.. 더보기
노랑제비꽃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말피기목 > 제비꽃과 > 제비꽃속 원산지 아시아 (중국,일본,대한민국) 서식지 산의 풀밭 크기 약 10cm ~ 20cm 학명 Viola orientalis 제비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노랑오랑캐’, ‘노랑오랑캐꽃’이라고도 한다. 줄기에서 꽃대가 나와 노란색 꽃이 무리 지어 핀다. 키는 10~20㎝쯤이고 땅속줄기는 밑으로 곧바로 뻗으며, 햇빛이 잘 드는 산 속 풀밭에 자생한다. 연한 잎은 식용한다. 더보기
꿩의바람꽃 & 할미꽃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서식지 산지의 숲 아래 습한 곳 학명 Anemone raddeana Regel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전국의 높은 산 습기가 많은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높이 15-20cm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1-2번 3갈래로 갈라지며, 보통 연한 녹색이지만 포잎과 함께 붉은빛을 띠는 경우도 많다. 꽃은 4-5월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흰색이다. 꽃을 받치고 있는 포잎은 3장이며, 각각 3갈래로 끝까지 갈라진다. 꽃받침잎은 8-13장이며, 꽃잎처럼 보이고,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없다. 수술과 암술은 많고, 씨방에 털이 난다. .. 더보기
솜나물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Leibnitzia anandria (L.) Turcz. 본초명 대정초(大丁草, Da-Ding-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와 들에서 곧추 자란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길이 5~16cm 정도의 도피침상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잎자루로 흘러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무 잎처럼 갈라지고 각 열편은 서로 떨어져 있다. 5월과 9월에 두 번 개화하며 1개씩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15mm 정도이고 붉은빛이 도는 백색이다. 수과는 길이 4~6mm 정도의 방추형으로 양끝이 좁고 갈색 또는 흑자색이며 관모가 있다. 두상화는 설상화관이며 화관은 분명한 2순형이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봄에 어린.. 더보기
얼레지 분류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 얼레지속 원산지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서식지 1000m 전후의 깊은 산 크기 약 30cm 학명 Erythronium japonicum (Balrer) Decne. 용도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한국과 일본 등의 아시아가 원산지로 전국의 높은 산 반그늘에 분포한다. 보라색으로 피는 꽃이 아침에는 꽃봉오리가 닫혀 있다가 햇볕이 들어오면 꽃잎이 벌어진다. 다시 오후가 가까워지면 꽃잎이 뒤로 말린다. 개미 유충 냄새와 흡사한 검은색의 씨앗을 개미들이 자신들의 알인 줄 알고 옮겨 날라 씨의 발아를 돕는다. 잎은 나물로 먹고 녹말이 함유된 뿌리는 구황식물로도 쓰였다. 더보기
개감수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서식지 산야 학명 Euphorbia sieboldiana Morr. et Decne. 본초명 감수(甘遂) 분포지역 한국(거의 전역), 일본, 사할린 꽃말 애교 다년생 초본, 높이는 20~40㎝, 털이 없음, 홍자색을 띰 잎은 호생, 장타원형, 길이 3~6㎝, 폭 7~20㎜, 5개의 잎이 줄기의 끝에서 윤생 꽃은 6월 갈자색 개화, 배상화서, 총포엽은 난형, 길이 5~12㎜, 선체는 초승달형 열매는 삭과, 구형, 3개로 갈라짐 더보기
청노루귀 숲에서 앞만 보고 가는 사람은 볼 수 없는 꽃이다. 노루귀는 키가 작고 바닥에 바짝 붙어있기 때문이다. 가끔은 아래도 살피고 가야 곱디고운 색감의 작은 꽃들을 관찰할 수 있다. 하얀 털을 뒤집어쓰고 꽃대가 나오면 꽃잎과도 같은 꽃이 피어나고 그 꽃이 질 무렵 잎이 나오는데 말려있는 모양이 노루위 귀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더보기
중의무릇 분류 백합과(Liliaceae) 서식지 산야 학명 Gagea lutea Ker-Gawler 본초명 정빙화(頂氷花) 분포지역 한국(중부 이북), 일본, 만주, 중국, 사할린, 동시베리아, 유럽 다년생 초본 인경은 난형, 길이 10~15㎜, 외피는 황색 근엽은 1개, 선형, 길이 15~35㎝, 폭 5~10㎜ 꽃은 4~5월 황색 개화, 산형 화서, 소화는 4~10개, 소화경의 길이는 1~5㎝, 포는 2개, 피침형, 길이 3~6㎝, 화피편은 6개, 선상 피침형, 이면은 녹색, 수술은 6개 열매는 삭과, 원형 더보기
산자고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백합과(Liliaceae) 학명 Tulipa edulis (Miq.) Baker 북한명칭 까치무릇 본초명 가패모(假貝母, Jia-Bei-Mu), 광자고(光慈菇, Guang-Ci-Gu), 금등롱(金燈籠, Jin-Deng-Long) 다년생 초본으로 인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인경은 길이 3~4cm 정도의 난상원형이고 화경은 높이 15~30cm 정도이다. 근생엽은 2개이고 길이 15~25cm, 너비 5~10mm 정도의 선형으로서 백록색이며 털이 없다. 4~5월에 개화한다. 포는 2~3개로 길이 2~3cm 정도이고 소화경은 길이 2~4cm 정도이다. 6개의 꽃잎은 길이 20~24mm 정도의 피침형으로 백색 바탕에 자주색 맥이 있다.. 더보기
양지꽃 분류 장미과 성격 식물, 꽃 유형 동식물 학명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 분야 과학/식물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MAX.이다. 우리나라 각처의 양지바른 곳에 나며, 풀 전체에 거친 털이 나 있고 줄기는 땅을 긴다. 밑동잎은 깃꼴겹잎이며 도란형으로 땅에 깔리고 맨 위에 있는 3개의 소엽은 크다. 밑으로 내려갈수록 소엽의 크기는 작아진다. 잎의 윗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봄철에 노랗게 피며 꽃잎은 5장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고 꽃 지름은 2㎝ 가량 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약재로 쓴다. 약성은 온(溫)하고 감(甘)하며 익기(益.. 더보기
등대풀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대극과(Euphorbiaceae) 학명 Euphorbia helioscopia L. 본초명 택칠(澤漆, Ze-Qi)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해안지방에서 잘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20~4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자르면 유액이 나오고 윗부분에 긴 털이 약간 있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1~3cm, 너비 6~20mm 정도의 주걱상 도란형으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는 부분에는 5개의 잎이 돌려난다. 가지 끝에 배상꽃차례로 달리는 꽃은 황록색이다. 삭과는 길이 3mm 정도로 밋밋하고 3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길이 1.8mm 정도로 갈색이며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대극’에 비해 2년초로 잎은 주걱모양의 도.. 더보기
현호색 분류 현호색과 서식지 양지 혹은 반그늘의 물 빠짐이 좋고 토양이 비옥한 곳 꽃색 연한 홍자색 크기 키는 약 20㎝ 정도 학명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용도 뿌리는 약용, 어린순은 식용 분포지역 우리나라,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4~5월 결실기 6~7월경 현호색(玄胡索)이란 이름은 씨앗이 검은 데에서 유래하며, 특히 기름진 땅이나 척박한 땅 등 어디에서나 잘 자란다는 의미도 들어 있다. 하지만 서양 사람들은 이를 달리 본 모양이다. 꽃 모양이 마치 종달새 머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속명을 그리스어로 종달새를 뜻하는 코리달리스(Corydalis)로 지은 것이다. 현호색은 애기현호색, 댓잎현호색, 가는잎현호색, 빗살현호색, 둥근잎현호색 등 여러 현호색 .. 더보기
산수유 #2 더보기
春雪 더보기
말냉이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십자화과(Brassicaceae) 학명 Thlaspi arvense L. 본초명 석명(?蓂, Xi-Mi), 석명자(?蓂子, Xi-Mi-Zi), 알람채(?藍菜, E-Lan-Cai)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과 밭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30~60cm 정도로 가지가 약간 갈라지고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털이 없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사방으로 퍼지고 주걱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약간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도피침상의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피는 꽃은 백색이다. 열매는 길이 15mm, 너비 10~12mm 정도의 편평한 도란상 원형으로 넓은 날개가 있고 끝이 .. 더보기
흰노루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