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부처꽃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부처꽃과(Lythraceae) 학명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북한명칭 두렁꽃 본초명 대아초(對牙草, Dui-Ya-Cao), 천굴채(千屈菜, Qian-Qu-Cai)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발생하며 산야의 습지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다.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고 피침형으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8월에 개화하며 잎겨드랑이에 3~5개의 꽃이 취산상으로 달려서 전체적으로 총상꽃차례처럼 보이고 홍자색으로 핀다. 삭과는 난형이고 꽃받침통 안에 있다. ‘털부처꽃’보다 식물체와 잎의 크기가 작은 편이다. 식물체에 털이 없고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 더보기
며느리밑씻개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원산지 아시아 (일본,대한민국,중국) 서식지 들 크기 약 1m ~ 2m 학명 Persicaria senticosa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Persicaria senticosa’이다. 일본에서의 이름은 ‘의붓자식의 밑씻개’인데, 여기에서 파생된 것이 ‘며느리밑씻개’라고 알려져 있다. 꽃잎이 없고 줄기와 가지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린 잎은 식용과 약용이 가능하다. 줄기와 가지에 갈고리처럼 생긴 가시가 많이 달려 있으며, 줄기는 조금 붉은색을 띤다. 잎은 삼각형처럼 생겼으며 어긋나고, 잎자루가 달리는 잎 밑은 조금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턱잎은 얇은 막처럼 생겨 줄기를 감싼다. 꽃은.. 더보기
돌가시나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장미속 서식지 바닷가 돌밭과 풀밭 학명 Rosa wichuraiana Crép. ex Déségl. 국내분포 전라남․북도, 제주도 해외분포 타이완, 일본, 중국 바닷가 돌밭과 풀밭에 자라는 반상록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가시가 많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작은잎 7-9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잎 앞면은 윤이 나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5-7월에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1-5개씩 달리며, 흰색, 지름 3cm쯤이다. 열매는 이과이며,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전라도와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더보기
참골무꽃 #2 더보기
배풍등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가지과 > 가지속 서식지 산지의 양지 바른 바위지대 학명 Solanum lyratum Thunb. 국내분포 경기도 이남 해외분포 대만, 인도, 일본, 중국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바위지대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샘털이 많다. 줄기는 길이 3m까지 자라며, 끝이 덩굴처럼 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3-8cm, 폭 2-4cm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1-2쌍의 조각으로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화관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는다. 줄기와 뿌리를 약용한다. 경기도 이남에 자생하며, 국외로는 .. 더보기
호장근 (꽃 개화직전)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냇가와 산기슭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m이다. 뿌리줄기가 목질로 되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여름에 핀다.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 등에서 분포하고 있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고, 밀원식물과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한방에서 뿌리를 약재로 쓴다. 꽃말이 정겹다. 영원히 당신의 것... 더보기
번행초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번행초과(Aizoaceae) 학명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본초명 번행(蕃杏, Fan-Xing), 번행초(蕃杏草, Fan-Xing-Cao), 빈와거(瀕萵苣, Bin-Wo-Ju)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남부 해안지방에 분포하며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30~60cm 정도로 밑에서부터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비스듬히 또는 지면을 따라 벋으며 육질로 돌기가 있다. 어긋나는 잎의 잎자루는 길이 2cm 정도이고 잎몸은 길이 3~6cm, 너비 2~4cm 정도의 두꺼운 난상 삼각형이며 끝이 뭉텅하다. 5~9월에 개화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는 황색의 꽃은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며 화경이 짧고 .. 더보기
도깨비가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가지과 > 가지속 서식지 강둑, 길가, 목장, 빈터 학명 Solanum carolinense L.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아시아, 유럽(귀화), 북미(원산) 강둑이나 빈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 50-100cm, 별모양털과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8-15cm, 폭 4-8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주걱 모양이다. 잎 양면에 별모양털이 있으며, 뒷면 주맥 위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잎자루에도 가시가 있다. 꽃은 6-10월에 피며, 줄기 옆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3-10개가 달린다.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지며,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다. 열매는 장과, 둥글며, 주황색으로 익는다... 더보기
털중나리 #2 더보기
물레나물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물레나물과(Hypericaceae) 학명 Hypericum ascyron L. 본초명 대연교(大連翹, Da-Lian-Qiao), 연시(連翅, Lian-Chi), 원보초(元寶草, Yuan-Bao-Cao), 홍한련(紅旱蓮, Hong-Han-Lian)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모여 나는 원줄기는 곧추 자라고 높이 80~160cm 정도로 약간의 가지가 갈라지며 밑부분은 연한 갈색이고 윗부분은 녹색이다.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이 원줄기를 마주 싸고 있으며 길이 5~10cm, 너비 1~2cm 정도의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7월에 가지 끝에 달리는 꽃은 황색 바탕에 붉은빛이 돈다. 암술대는 길이 6.. 더보기
알려주세요~ (비수리 충영) 산중 무덤가에서 살고있는 아이 입니다. 명찰을 아시는분께 도움을 청합니다... 더보기
좁쌀풀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앵초과(Primulaceae) 학명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 Kunth 북한명칭 노란꽃꼬리풀 본초명 황속채(黃粟菜, Huang-Su-Cai), 황련화(黃連花, Huang-Lian-Hua)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근경은 옆으로 벋으며 곧추서는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약간의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거나 3~4개씩 돌려나고 길이 4~12cm, 너비 1~4cm 정도의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8월에 개화하며 원추꽃차례에 달린 꽃은 황색이다. 열매는 지름 4mm 정도로 둥글고 끝에 길이 5~6mm 정도의 암술대가 남아.. 더보기
닭의장풀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학명 Commelina communis L. 북한명칭 닭개비 본초명 계장초(鷄腸草, Ji-Chang-Cao), 압설초(鴨舌草, Ya-She-Cao), 압척초(鴨跖草, Ya-Zhi-Cao), 지지우(地地藕, Di-Di-Ou)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25~50cm 정도로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밑부분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3~6cm, 너비 1~3cm 정도의 난상 피침형으로 밑부분이 막질의 잎집으로 되어 있다. 7~8월에 개화한다.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화경의 끝에 포로 싸인 꽃은 청색 또는 하늘색이며 가끔 흰색도.. 더보기
자귀나무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자귀나무속 원산지 아시아 서식지 산, 들 크기 약 3m ~ 5m 학명 Albizia julibrissin Durazz. 꽃말 가슴의 두근거림, 환희 콩과 자귀나무속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 학명은 Albizia julibrissin Durazz.이다. 자귀나무의 한자 이름은 모두 비슷한 뜻의 합환목·합혼수·야합수·유정수 등으로 불린다. 밤이면 잎이 오므라들어 서로를 포옹한다고 해서 합환목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예전에는 부부의 금실을 위해서 이 나무를 집안에 심었다. 자귀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밤에 잎이 오므라져 마치 자는 듯한 느낌을 주어서 잠자는 데 귀신 같다는 의미가 내포된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 활용 수피는 약재로 사용된다... 더보기
미국능소화 학명 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ann 문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통꽃식물목(Tubiflorales) 과 능소화과(Bignoniaceae) 미국능소화는 이명으로 트럼팻발바리 라고도 부른다. 가지는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 가거나 다른 물체를 타고 오라가며 길이가 10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잎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6~9월에 짙은 주황색으로 집산꽃차례로 피며 능소화에 비해 꽃부리의 대롱이 길며 꽃의 지름이 다소 작다. 내한성이 약한.. 더보기
큰피막이 분류 산형화목 > 산형과 > 피막이속 꽃색 백색 학명 Hydrocotyle ramiflora Maxim. 개화기 7월, 6월, 8월 분포지역 경기도 이남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0-15cm 잎은 엽병 윗부분과 잎 표면에만 털이 약간 있다. 탁엽은 막질이고 때로는 갈색이 돌며 길이 2-2.5mm로서 갈색반점이 있고 엽병은 길이 4-8cm이지만 가지끝의 것은 매우 짧다. 잎은 둥글며 지름 1-3cm로서 가장자리가 얕게 7개 정도로 갈라지고 낮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1.5mm로서 백색이고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잎보다 긴 화경이 나오며 그 끝에 10개 정도의 꽃이 달리고 꽃자루가 짧다. 꽃잎과 수술은 각 5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콩팥모양이며 길이 1mm이고 분과는 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