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꿀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꿀풀속 서식지 햇볕이 잘 드는 나지대, 초지대 학명 Prunella asiatica Nakai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일본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뿌리줄기가 있다. 줄기는 붉은색이 돌며, 털이 많고, 높이 20-6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조금 있다. 꽃은 5-7월에 줄기 끝의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리며, 보라색, 분홍색, 흰색, 입술 모양이다. 꽃받침은 입술 모양,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아랫입술이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2개가 길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4개로 갈라지고, 노란빛이 도는 갈색으로 익는다. 약으로 쓰인다. 더보기
나비나물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콩과(Fabaceae) 학명 Vicia unijuga A. Braun 북한명칭 너비나물 본초명 삼령자(三鈴子, San-Ling-Zi), 왜두채(歪頭菜, Wai-Tou-Cai) 다년생 초본으로 분주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모여 나는 원줄기는 높이 50~100cm 정도로 곧추 자라고 능선으로 인하여 네모가 진다. 어긋나는 잎은 한 쌍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소엽은 길이 3~8cm, 너비 2~4cm 정도의 난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7~8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는 많은 꽃은 홍자색이다. 열매는 길이 3cm 정도이고 털이 없다. ‘긴잎나비나물’과 달리 소엽은 2개로 나비 모양이고 너비 2~4.. 더보기
우단담배풀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현삼과(Scrophulariaceae) 학명 Verbascum thapsus L. 북한명칭 모예화 본초명 모예초(毛蕊草, Mao-Rui-Cao), 모예화(毛蕊花, Mao-Rui-Hua)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고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분지된 털이 우단처럼 밀생하고 있다. 줄기는 높이 100~200cm 정도이고 잎몸에서 흘러내린 날개 모양의 부수체가 있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없고 잎몸은 길이 10~40cm, 너비 4~12cm 정도의 장타원형으로 두껍고 끝이 뾰족하며 기부는 긴 쐐기꼴로 좁아지며 둔한 톱니가 있고 전체적으로 하얀 털이 밀생한다. 6~9월에 개화하며 꽃은 지름 2~2.5cm 정도로 황색으로 화경이 없고 길이 50cm 정도의 긴 수상꽃차례에.. 더보기
참골무꽃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꿀풀과(Lamiaceae) 학명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본초명 병두황금(倂頭黃芩, Bing-Tou-Huang-Qin)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해변의 모래땅에서 잘 자란다. 옆으로 길게 벋은 근경에서 나온 줄기는 높이 10~40cm 정도이고 능선에 위를 향한 털이 있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10~20mm, 너비 5~12mm 정도의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둔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피는 꽃은 자주색이고 열매는 길이 1.5mm 정도의 반원형으로 둥근 돌기가 있다. ‘구슬골무꽃’과 달리 근경이 잘록하지 않고 ‘왜골무꽃’에 비해 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어린순은 .. 더보기
석잠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석잠풀속 서식지 산지의 습한 곳 학명 Stachys japonica Miq.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일본, 러시아 전국의 산과 들, 습기가 있는 곳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일본,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땅속줄기는 희고,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80cm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으며, 잎자루도 없다. 꽃은 6-8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6-8개씩 층층이 돌려나며, 연한 자주색을 띤다. 꽃받침은 종 모양, 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뾰족하다. 화관은 입술 모양, 윗입술은 원형으로 아랫입술보다 짧고, 아랫입술은 3갈래인데 가운데 갈래가 가장 길며 짙은 .. 더보기
버찌 분류 장미과 서식지 정원수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번식 삽목 생활사 여러해살이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인이다. 버찌는 벚나무 열매를 말하는데, 동양계와 구라파계가 있다. 동양계는 과실로서의 가치가 낮다. 구라파계는 흑해 연안이 원산지로 되어 있는데 과실로서의 가치가 높아 지금은 우리 나라에도 재배되고 있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소교목으로서 높이 약 11m이다. 꽃은 흰색이고 꽃이 핀 지 60∼80일이 지난 뒤인 5월에서 7월 상순에 걸쳐 수확한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거나 심장형이며 지름 약 2cm이고 노란빛을 띤 검붉은색이다. 단버찌의 원산지는 터키인데, 유럽 중남부에 걸쳐서 야생하며 곧게 자란다. 신버찌는 남서아시아에서 남동 유럽을 원산지로 추정한다. 버찌의 고운 색깔은 안토시아닌인데.. 더보기
고욤나무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감나무목 > 감나무과 원산지 아시아 서식지 민가 근처 크기 약 10m 학명 Diospyros lotus 꽃말 자애 용도 생식용, 약용 등 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인 고욤나무의 열매. 경기도 이남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다른 지역에서도 심는다. 나무는 감나무와 비슷하나 열매는 1~2cm 정도로 감에 비해 작고, 나무의 경우 감나무의 대목으로 널리 쓰인다. 식재료로 활용할 때에는 보신용으로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전에는 흔했으나 현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 감나무 더보기
흰전동싸리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전동싸리속 서식지 들판, 산기슭, 하천 가 학명 Melilotus albus Medik.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일본, 중국(동북부),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전국의 들판이나 하천 가에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100-200cm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 가장자리에 엉성한 톱니가 있다. 꽃은 6-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흰색으로 핀다. 꽃차례는 3-5cm지만 열매가 익을 때 더 길어진다. 열매는 협과이며 납작한 난형 또는 타원형, 씨가.. 더보기
종덩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속 서식지 숲 속 학명 Clematis fusca Nakai ex Chung et al. var. violacea Maxim. 국내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 일본, 중국(동북부) 숲 속에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길이 2-3m, 다른 물체를 타고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끝의 작은잎은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4장, 꽃잎처럼 보이며,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거의 없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수과이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우.. 더보기
산해박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백미꽃속 서식지 산과 들의 풀밭 학명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 일본 산과 들의 양지바른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피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녹색이 조금 도는 노란색이다. 꽃받침과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다. 열매는 골돌과이고, 길이 10cm 정도인 주머니 모양으로 밑으로 처진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와 일본에 분포한다. 더보기
쥐방울덩굴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학명 Aristolochia contorta Bunge 북한명칭 방울풀 본초명 광방기, 마두령, 천선등, 청목향 다년생 초본이며 덩굴성이고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털이 없는 덩굴은 5m 정도까지 자라나 지주가 없으면 뭉쳐서 자란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5~10cm, 너비 4~8cm 정도의 넓은 난상 심장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1~7cm 정도이다. 7~8월에 개화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함께 나오고 꽃받침은 통 같으며 밑부분이 둥글게 커진다. 삭과는 지름 3cm 정도로 둥글며 밑부분에서 6개로 갈라진다. ‘등칡’과 달리 초본으로 잎은 심장형이고.. 더보기
매화노루발 분류 노루발과 서식지 바닷가의 숲속 반그늘의 토양이 비옥한 곳 꽃색 흰색 크기 키는 약 5~10㎝ 정도 학명 Chimaphila japonica Miq. 용도 관상용 분포지역 우리나라와 일본, 타이완, 중국, 사할린 섬 등지 생활사 상록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5~6월 결실기 8~9월경 노루가 들어가는 들꽃은 노루귀, 노루발, 노루삼, 노루오줌 등등 여러 개가 있는데, 매화노루발 역시 그중 하나다. 대표종인 노루발은 꽃이 흰색이며 크기는 지름이 1㎝가 약간 넘는다. 이에 비해 매화노루발은 꽃이 매화처럼 아름답다고 해서 ‘매화’가 붙여진 이름으로, 지름은 1㎝ 정도이다.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꽃자루 끝에 1~2개의 꽃이 마치 작은 종처럼 아래를 향해 달린다. 그런데 꽃망울은 일찍 맺지만 한 달 정도 견디다가 .. 더보기
덩굴해란초 학명 : Cymbalaria muralis 분류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현삼과 꽃말 : 생명력, 희망 심발라리아 무랄리스, 자화해란초, 애기누운주름잎이라고도 하며 원산지가 남부 유럽, 지중해 인근으로 2009년 6월 한국식물분류학회지 연구단신에 귀화식물로 분류 덩굴해란초로 공식국명이 정해졌다고 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양지쪽이나 그늘 모두에서 잘 자라고 , 특히 바위가 있는 정원의 지피식물로 이용되며, 걸이 화분용에 알맞으나 과습은 피한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다섯개의 결각으로 얕게 갈라져서 손바닥모양의 잎을 가지며 덩굴손은 없으나 땅에 닿는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퍼져 나가는 모습이 덩굴에 가까우며 꽃의 모양에 있어서 뒤편에 거치가 있어 현삼과의 다른 식물과 싶게 구별된다. 꽃은 자.. 더보기
하늘나리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백합과(Liliaceae) 학명 Lilium concolor Salisb. 본초명 뇌백합(雷百合, Lei-Bai-He), 백합(百合, Bai-He), 산뇌서(蒜腦薯, Suan-Nao-Shu) 다년생 초본으로 인경이나 종자로 번식하고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야에서 자란다. 인경은 작은 난형이고 화경은 높이 35~70cm 정도이다. 어긋나는 잎은 조밀하게 달리고 잎자루와 털이 없으며 길이 3~10cm, 너비 3~6mm 정도의 선형으로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6~7월에 개화하며 꽃은 1~5개가 위를 향해 피고 꽃잎은 도피침형이며 짙은 분홍색이지만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산포한다. ‘날개하늘나리’와 다르게 꽃은 홍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고 잎 가장자리에 작은 돌기가 있다. 밀원.. 더보기
잔개자리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개자리속 서식지 들판 학명 Medicago lupulina L. 국내분포 전국(귀화) 해외분포 유럽(원산), 아시아, 북아메리카(귀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들판에 자란다.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는데, 가지는 땅에 눕거나 위를 향해 자라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의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턱잎은 긴 난형이다. 꽃은 5-7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끝 부분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피침형, 열매는 협과, 콩팥 모양, 90° 정도 말리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더보기
고삼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콩과(Fabaceae) 학명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북한명칭 능암 본초명 고삼(苦蔘, Ku-Shen), 골담근(骨儋根, Gu-Dan-Gen), 금작화(金雀花, Jin-Que-Hua), 토황기(土黃芪, Tu-Huang-Qi)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와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90~180c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녹색이나 검은빛이 돌기도 한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기수 우상복엽이고 15~39개의 소엽은 길이 2~4cm, 너비 7~15m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8월에 피는 총상꽃차례에 많이 달리는 꽃은 연한 황색이다. 꼬투리는 길이 7..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