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순비기나무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마편초과 > 순비기나무속 원산지 태평양, 아시아, 오세아니아 서식지 해안가 모래 크기 약 20cm ~ 80cm 학명 Vitex rotundifolia L.f. 용도 약재용, 양조용 등 꿀풀목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에 속하는 식물. 황해도와 경상북도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 비스듬히 누워 자란다.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으며 줄기는 약간 네모지고 흰색을 띤다. 두꺼운 가죽질의 잎은 긴 난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푸른 자주색의 꽃은 겉에 흰색 털을 가지는데 7~9월에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수술은 네 개로 이중 두 개가 길어 꽃잎 밖으로 나와 있다. 열매는 9~10월에 둥글고 단단하게 익는다. ※ 특징 일본·타이완·중국에도 분포하며, 바닷물에도 죽지 않는 내.. 더보기
결실 (꽃산딸나무) 분류 속씨식물문 > 목련강 > 층층나무목 > 층층나무과 > 층층나무속 원산지 북아메리카 꽃색 흰색, 분홍색, 빨간색 학명 Cornus florida L. 개화기 4월 ~ 5월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이 원산지인 산딸나무다. 미국 중부의 미시시피 강부터 동쪽의 플로리다, 남쪽으로는 멕시코 북부 지역까지 널리 분포한다. 세부적으로는 미국 동부 지역과 멕시코 북부에 분포하는 아종을 구분한다. 야생에서는 숲의 가장자리나 건조한 산등성이에서 찾을 수 있다. 봄이면 화사한 느낌의 꽃이 풍성하게 피고, 가을에는 선명한 붉은색 단풍이 들어 아름답다. 꽃과 단풍을 감상하기 위해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그만큼 다양한 원예 품종이 있다. 더보기
홍줄노린재 분류 노린재목 > 노린재과 서식지 낮은 초지 크기 9~12mm 학명 Graphosoma rubrolineatum (Westwood, 1837)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몸 길이: 9~12mm 몸은 광택이 있는 검정색 바탕에 아름다운 붉은 세로 줄무늬가 등면에 나타난다. 개체에 따라 줄무늬는 적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는 경우도 있으며 변이가 심하다. 더듬이는 짧고 검은색을 띠며 5마디이다. 앞가슴등판은 폭이 넓고 중앙부가 가로로 볼록하다. 양 모서리를 포함하여 모두 7개의 붉은 세로 줄무늬를 갖는다. 작은방패판은 넓고 크며 중앙부가 완만하게 볼록하고 배 끝까지 도달한다. 4개의 붉은 세로 줄무늬가 현저히 나타난다. 앞날개는 혁질부의 바깥가장자리 기부만 노출되었고 한 개의 붉은 세로 줄무늬가 있.. 더보기
수련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수련목 > 수련과 > 수련속 서식지 연못, 호수 학명 Nymphaea tetragona Georgi 국내분포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해외분포 북반구 더보기
참나리 분류 백합과 꽃색 주황색 학명 Lilium tigrinum Ker-Gawl 개화기 7월~8월 우리나라 각지의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정원에 심기도 한다. 줄기는 높이 1~2m 정도이며, 짙은 보라색이고 전체에 흰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땅 속에는 지름 5~8cm 되는 흰색의 비늘줄기가 있으며 먹을 수 있다. 잎은 길이 5~18cm, 폭 5~15mm로 짙은 녹색이며 매우 두터운 편이고, 줄기와 붙은 부분에 주아가 생긴다. 더보기
알락하늘소 분류 목하늘소아과(Lamiinae) 서식지 마을 주변, 강가 크기 25~35㎜ 학명 Anoplophora malasiaca (J. Thomson, 1865) 분포지역 거제도, 지리산, 변산반도, 운장산, 모악산, 소백산, 서울 강남구, 구름산, 천마산 기주식물 중국단풍나무, 양버즘나무 월동형태 유충 출현시기 6~9월 몸 윗면은 검고 광택이 강하다. 딱지날개 상반부의 위와 옆에 작은 돌기들이 있으며 흰 점무늬는 비교적 좌우 대칭이다. 마을 주변의 단풍나무나 강변의 버드나무류에 살며 성충은 6월부터 나타나 7월 초순에 가장 많이 보인다. 낮 동안 기주식물의 잎이나 가지에서 암수가 짝짓기를 하거나 가지의 껍질을 갉아먹으며, 암컷은 저녁에 굵은 줄기에 내려와 살아있는 기주식물에 산란한다. 아파트 조경수나 도시의.. 더보기
계요등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꼭두서니과(Rubiaceae) 학명 Paederia scandens (Lour.) Merr. var. scandens 북한명칭 계뇨등 본초명 계시등(鷄屎藤, Ji-Shi-Teng), 계요등(鷄尿藤, Ji-Niao-Teng), 취피등(臭皮藤, Chou-Pi-Teng) 낙엽성 관목의 덩굴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남부지방에 분포하며 대청도와 울릉도까지 바다를 따라 올라가 산지나 해변에서 자란다. 덩굴줄기는 길이 3~6m 정도이고 윗부분은 겨울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4~10cm, 너비 1~7cm 정도의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7월에 원추꽃차례로 피는 꽃은 백색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열매는 지름 .. 더보기
하늘말나리 분류 백합과 서식지 반그늘이고 부엽질이 많거나 모래 성분이 많은 토양 꽃색 황적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 크기 키는 약 60~90㎝ 정도 학명 Lilium tsingtauense Gilg 용도 관상용, 어린잎의 줄기와 비늘줄기는 식용 분포지역 우리나라와 중국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7~8월 결실기 9~10월 하늘말나리는 나리꽃의 일종으로 꽃이 하늘을 보고 있으며, 잎이 나오는 모습은 말나리를 닮았다고 해서 하늘말나리라고 한다. 나리는 꽃이 어디를 향하는가에 따라 하늘을 보면 하늘나리, 땅을 보면 땅나리, 중간쯤에 비스듬히 있으면 중나리라고 한다. 하늘말나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반그늘이고 부엽질이 많거나 모래 성분이 많은 토양에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며 거의 털이 없고, 키는 .. 더보기
활량나물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콩과(Fabaceae) 학명 Lathyrus davidii Hance 본초명 강망결명(江茫決明, Jiang-Mang-Jue-Ming), 대산려두(大山黧豆, Da-Shan-Li-Dou) 다년생 초본으로 땅속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80~120cm 정도로 약간 비스듬히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윗부분에 둔한 능선이 있다. 어긋나는 잎은 우수 우상복엽으로 끝에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4~8개의 소엽은 길이 3~8cm, 너비 2~4cm 정도의 타원형으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6~8월에 개화하며 1~2개씩 나오는 총상꽃차례에 밑을 향해 달리는 꽃은 황색에서 황갈색으로 변한다. 열매는 길이 6~8.. 더보기
닭의덩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닭의덩굴속 서식지 경작지 주변, 숲 가장자리, 건조한 덤불 속, 길가 학명 Fallopia dumetorum (L.) Holub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인도(북부), 네팔, 동아시아, 유럽 우리나라 전역에 흔히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삼각형으로 길이 5-10cm, 양면의 잎맥과 가장자리에 미세한 돌기가 있다. 꽃은 6-9월이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모여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홍색을 띤다. 화피편은 날개가 발달한다. 열매는 수과로 원형이며, 표면에 돌기가 없고 매끈하며, 광택이 있다. 더보기
범부채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붓꽃과(Iridaceae) 학명 Belamcanda chinensis (L.) DC. 본초명 귀선(鬼扇, Gui-Shan), 냉수화(冷水花, Leng-Shui-Hua), 사간(射干, She-Gan), 오취(烏吹, Wu-Chui), 황화편축(黃花萹蓄, Huang-Hua-Bian-Xu)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에서 자라거나 재배한다. 옆으로 벋는 근경에서 모여 나는 화경은 높이 60~120cm 정도이고 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은 2줄로 부채처럼 배열되고 녹색 바탕에 다소 흰빛이 돌며 길이 25~50cm, 너비 2~4cm 정도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서로 껴안는다. 7~8월에 개화한다. 꽃은 수평으로 퍼지고 황적색 바탕.. 더보기
좁쌀풀 #2 더보기
미꾸리낚시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Polygonaceae) 학명 Persicaria sagittata (L.) H. Gross ex Nakai 본초명 소전엽료(小葥葉蓼, Xiao-Jian-Ye-Liao), 작교(雀翹, Que-Qiao)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골짜기나 물가에서 자란다. 밑부분이 옆으로 누우며 자라는 줄기는 길이 40~8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어 잘 붙는다.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피침형으로 심장저이며 털이 없으나 뒷면의 잎맥과 잎자루에는 밑을 향한 가시가 있다. 잎집 같은 턱잎은 길이 5~10mm 정도이며 털이 없다. 7~9월에 개화하며 가지 끝에 두상으로 모여 달리는 꽃은 연한 홍색이다. 수과는 길이.. 더보기
끈끈이주걱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끈끈이귀개목 > 끈끈이귀개과 > 끈끈이주걱속 원산지 아시아 (중국,대한민국,대만) 서식지 북반구 온대 및 난대,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습지 크기 약 6cm ~ 30cm 학명 Drosera rotundifolia 끈끈이귀개목 끈끈이귀개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식물들로 잘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파리지옥은 오스트레일리아에 가장 많은 종류가 자란다. 잎을 덮고 있는 털끝에서 끈적끈적한 물질이 나와 곤충들을 포획하는 특성으로 유명하다. 한국에는 벌레먹이말속의 벌레먹이말과 끈끈이주걱속의 끈끈이주걱, 끈끈이귀개 및 긴잎끈끈이주걱 등이 자란다. 꽃은 작고 5장의 하얀색 또는 분홍색의 꽃잎으로 되어 있으며 굽어 있는 꽃줄기의 한쪽에만 달려서 고개 숙.. 더보기
짚신나물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장미과(Rosaceae) 학명 Agrimonia pilosa Ledeb. 북한명칭 집신나물 본초명 과로황(過路黃, Guo-Lu-Huang), 금전초(金錢草, Jin-Qian-Cao), 낭아초(狼牙草, Lang-Ya-Cao), 선학초(仙鶴草, Xian-He-Cao), 용아초(龍牙草, Long-Ya-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모여서 나오는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과 어긋나는 경생엽은 우상복엽으로 밑부분의 소엽은 작고 윗부분의 소엽 3개는 긴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6~8월에 개화하는 총상꽃차.. 더보기
산조풀 분류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벼목 > 화본과 > 새풀속 서식지 산지의 풀숲, 평지의 습기 있는 땅 학명 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북반구 온대 산지 풀숲이나 평지의 습기 있는 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50-150cm로 곧게 자란다. 잎몸은 선형으로 안으로 말린다. 꽃은 5-9월에 피고 꽃차례는 원추꽃차례로 길이 10-25cm인 원통 모양으로 곧추선다. 작은이삭은 좁은 피침형으로 녹색 또는 연한 자주색을 띠며 1개의 낱꽃으로 이루어진다. 제1포영과 제2포영은 길이가 비슷하다. 외영은 포영의 절반 정도이며 끝에서 까락 1개가 난다. 꽃이 피기 전에 가축먹이로 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한다.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