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흰)참골무꽃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꿀풀과(Lamiaceae) 학명 Scutellaria strigillosa Hemsl. 본초명 병두황금(倂頭黃芩, Bing-Tou-Huang-Qin)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해변의 모래땅에서 잘 자란다. 옆으로 길게 벋은 근경에서 나온 줄기는 높이 10~40cm 정도이고 능선에 위를 향한 털이 있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10~20mm, 너비 5~12mm 정도의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둔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피는 꽃은 자주색이고 열매는 길이 1.5mm 정도의 반원형으로 둥근 돌기가 있다. ‘구슬골무꽃’과 달리 근경이 잘록하지 않고 ‘왜골무꽃’에 비해 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어린순은 식용하.. 더보기
박쥐나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층층나무목 > 박쥐나무과 > 박쥐나무속 서식지 산지의 숲 속 학명 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var. trilobum (Miq.) Ohwi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동아시아 온대지역 중부지방 이남의 숲 속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떨기나무 또는 작은키나무다. 세계적으로는 동아시아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3-6m다. 잎은 어긋나며, 둥근 모양 또는 오각형, 위쪽이 3 또는 5갈래로 갈라지고,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다.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꽃대에 1-4개씩 피며, 아래를 향하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자루에 마디가 있다. 꽃받침은 둥근 고리 모양, 4-10갈래로 얕게 갈라진다. 꽃잎은 6장, 선형.. 더보기
쥐똥나무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물푸레나무과 > 쥐똥나무속 서식지 산지의 숲 가장자리 학명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 일본 전국의 산과 들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2-3m이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 모양 또는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서 작은 꽃들이 많이 달리며, 흰색이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끝이 4갈래로 갈라져서 밖으로 젖혀진다. 수술은 2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등근 모양이며, 가을에 검게 익는다. 공해에 강하여 도시에서 울타리용으로 흔히 재배한다. 더보기
노루발풀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진달래목 > 노루발과 > 노루발속 원산지 아시아 (일본,대한민국,중국) 서식지 얕은 산지의 햇볕이 잘 안드는 숲속 크기 약 26cm 학명 Pyrola japonica 꽃말 소녀의 기도 노루발과에 속하는 상록다년생초. 일본과 한국, 중국이 원산지이며, 얕은 산지의 햇볕이 잘 안 드는 숲 속에 서식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크기는 약 26cm이다. 꽃말은 ‘소녀의 기도’이다. 식물 전체를 한방에서 피임이나 각기병 치료에 약재로 사용한다. - 다음백과 - ↓ 매화노루발 학명 Chimaphila japonica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진달래목 분포지역 한국·일본·타이완·중국·사할린섬 서식장소/자생지 바닷가의 숲속 크기 높이 5∼10cm 쌍떡잎식.. 더보기
왕비늘사초 & 도깨비사초 학명 Carex maximowiczii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외떡잎식물 목 사초목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서식장소/자생지 습지 또는 논둑 크기 높이 40∼70cm, 잎 나비 4∼6mm, 과포 길이 4mm 외떡잎식물 벼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습지 또는 논둑에서 자란다. 짧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서 높이 40∼70cm로 자라고 밑부분에만 잎이 있다. 잎은 나비 4∼6mm이고, 잎이 없는 잎집은 계수나무의 두꺼운 껍질의 색이며 잘게 갈라진다. 작은이삭은 2∼4개로서 대가 있으며 밑으로 처진다. 수꽃 작은이삭은 끝에 달리고 줄 모양이며, 암꽃 작은이삭은 옆에 달린다. 과포는 길이 4mm 정도이고 렌즈형이며 겉에 잔돌기가 밀생한다. 첫째 포(苞)는 잎같이 생기고 꽃이삭보다 길며, 부리는 짧고 끝은 밋밋.. 더보기
큰방울새란 학명: Pogonia japonica Rchb. f. 문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강 : 백합강(Liliopsida) 목 : 난초목(Asparagales) 과 : 난초과(Orchidaceae) 속 : 방울새란속(Pogonia) 양지바른 습한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수염뿌리는 노끈 모양으로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높이 15-30cm로 곧추선다. 줄기 가운데 부분에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 잎 한 장이 달리며 밑은 줄기를 조금 감싼다. 꽃은 붉은 보라색으로 5-7월에 피며 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잎은 조금 벌어진다. 포는 잎 모양으로 씨방보다 길다. 꽃받침 3장은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긴 타원형이다. 입술꽃잎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고, 3갈래이며, 가운데 큰 갈래는 .. 더보기
빈도리 & 만첩빈도리 분류 :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활엽 관목. 분포 : 한국,일본 (학명 : Deutzia crenata Siebold & Zucc) 서식 : 정원수, 관상용 (크기 : 높이 2m) 빈도리는 일본 원산지로 정원에 심어 기르는 낙엽활엽 관목이다. 높이는 2m 정도이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꽃이 말발도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빈도리라고 하며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일년생가지는 적갈색이고 성모(별모양 털)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오래 되면 나무껍질이 벗겨진다. 잔가지 적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잎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너비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자루 길이는 2~5mm이다. 꽃은 .. 더보기
마삭줄 분류 협죽도과 마삭덩굴속 원산지 한국, 일본, 타이완 서식지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표고 1,100m 이하 산록의 수림 및 암석 성격 식물, 나무 유형 동식물 크기 지름 2∼5㎝, 높이1∼10㎝ 학명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 분야 과학/식물 개화기 5∼6월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표고 1,100m 이하 산록의 수림 및 암석 등에 자생하는 난대 수종이다. 마삭나무, 조선마삭나무, 왕마삭줄, 민마삭줄, 겨우사리덩굴 등으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 일본, 타이완이다. 학명은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Nakai이다. 잎은 마주나기를 하며 타원형, 달걀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 더보기
農繁期 더보기
갯까치수영 학명 Lysimachia mauritiana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앵초목 분포지역 한국(제주·전남·경북·경남), 동아시아, 남태평양의 여러 섬 서식장소/자생지 바닷가 크기 높이 10∼40cm 갯까치수염·갯좁쌀풀·해변진주초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밑에서 가지를 치며, 높이 10∼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육질(肉質)이며 주걱 모양의 거꾸로 세운 바소 모양이다. 잎의 길이는 2∼5cm, 나비는 1∼2cm로 끝이 둥글고 밑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검은색의 내선점(內腺點)이 있다. 7∼8월에 흰색 꽃이 피고 총상꽃차례로 꼭대기에 달리며, 작은꽃자루는 비스듬히 퍼지고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잎은 넓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며 뒷면에 검은 점이 약간 있다. 화관은 끝이 5.. 더보기
딱지꽃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양지꽃속 원산지 아시아 (일본,대한민국,중국) 서식지 들이나 강가, 바닷가 크기 약 30cm ~ 60cm 학명 Potentilla chinensis 꽃말 사랑해, 언제나 사랑해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일본과 한국, 중국이 원산지이고, 들이나 강가, 바닷가에 서식한다. 크기는 30~60cm 정도이다. 꽃은 초여름에서 한여름 사이에 노란색으로 피며, 꽃말은 ‘사랑해’, ‘언제나 사랑해’이다. 식물 전체를 말려 약재로 쓴다. - 다음백과 - 더보기
제비꿀 #2 더보기
쇠채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Scorzonera albicaulis Bunge 본초명 독각선모, 독모, 백경아총, 선모, 아총근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야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길이 10~30cm, 너비 5~9mm 정도의 선상 피침형으로 백색 털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근생엽보다 작다. 7~8월에 피는 두상화는 황백색이다. 수과는 길이 16~20mm, 지름 1.2~1.8mm 정도의 선형으로 약간 굽고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16mm 정도로 약간 붉은빛이 돈다. ‘멱쇠채’와 달리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 더보기
산골무꽃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골무꽃속 서식지 숲 속 학명 Scutellaria pekinensis Maxim. var. transitra (Makino) H. Hara ex H. W. Li 꽃말 나를 건드리지 마세요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일본, 중국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25cm쯤으로 겉에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난형으로 길이 2-4cm, 폭 1-3cm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위쪽 갈래는 투구 모양이다. 화관의 아랫입술은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일본에 분포한다. 더보기
전동싸리(노랑)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콩과(Fabaceae) 학명 Melilotus suaveolens Ledeb. 본초명 벽한초(擘汗草, Bi-Han-Cao), 야화생(野花生, Ye-Hua-Sheng), 초목서(草木犀, Cao-Mu-Xi), 향마료(香馬料, Xiang-Ma-Liao)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중국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해안지대에서 잘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80~160cm 정도로 곧추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의 끝에서 3출하는 소엽은 길이 15~30m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꼬투리는 난형으로 털이 없고 흑색으로 익는다. ‘개자리속’에 비해 협과가 소형이거나 난형으로 말리지 .. 더보기
연리초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