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구기자나무 구기자나무는 가지과에 딸린 낙엽 관목이다. 낮은 산이나 길가에서 볼 수 있다. 키는 4m가량이고, 줄기는 가늘고 가시가 있다. 잎 모양은 타원형으로, 부드럽고 잎자루가 있다. 6~9월에 잎겨드랑이에 자주색의 작은 꽃이 핀다. 꽃부리는 연보라색이다. 8~9월에 타원형의 열매가 붉게 익는다. 열매는 구기자라 하는데 한약재로 쓰이며, 술을 빚기도 한다. 잎과 껍질도 약으로 쓰이고 어린잎은 먹는다. 우리나라 · 중국 · 일본 ·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더보기
뻐꾹나리 더보기
금불초 더보기
사데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방가지똥속 서식지 바닷가, 들 학명 Sonchus brachyotus DC.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 일본, 중국 바닷가 또는 들의 양지바른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50-100cm로 곧추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속이 비어 있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이다. 잎의 밑은 줄기를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큰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잎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노란색 머리모양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머리모양꽃 지름은 3-4cm이다. 모인꽃싸개는 넓은 통 모양이고 꽃싸개가 4-5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로 5개의 능선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 더보기
더덕 분류 초롱꽃목 > 초롱꽃과 > 더덕속 꽃색 녹색 학명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 Zucc.) Benth. & Hook.f. ex Trautv. 개화기 8월, 9월 잎은 어긋나기하며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마주나기하므로 모여 달린 것같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3-10cm, 나비 1.5-4cm로서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짧은 가지 끝에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cm, 나비 6-10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녹색이다. 꽃부리는 길이 2.7-3.5c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 뒤로 약간 말리며 겉은 연한 녹색이고 안.. 더보기
물달개비 분류 물옥잠과 서식지 논이나 습지 학명 Monochria raginalis var. plantaginea (Roxb) Solm-laub 분포지역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등 번식 종자 생활사 한해살이풀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논이나 연못 등 물가에서 자생하는 한해살이 풀로 높이는 20cm안팎이다. 입 모양이 닭의장풀과 비슷하고 물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다. 원줄기에 각각 1개의 잎이 달린다. 잎은 넓은 바소 모양 또는 세모진 달걀 모양이다. 7∼9월에 푸른 자주색으로 피고 3∼7개가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10월에 열매가 익으며 길이 약 1cm정도의 타원형 삭과이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 잎은 식용한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등에 분.. 더보기
왕고들빼기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Lactuca indica L. 본초명 백룡두(白龍頭, Bai-Long-Tou), 산와거(山萵苣, Shan-Wo-Ju), 약사초(藥師草, Yao-Shi-Cao), 토와거(土萵苣, Tu-Wo-Ju) 1년 또는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80~150c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근생엽은 모여 나며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10~30cm의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털이 없다.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결각상의 큰 톱니가 있다. 8~10월에 원추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2~3cm 정도로 연한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5m.. 더보기
새깃유홍초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메꽃과 > 유홍초속 서식지 정원, 화단 학명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국내분포 전국(재배) 해외분포 열대 아메리카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물체를 왼쪽으로 감으며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며, 잎몸은 여러 갈래로 깊게 갈라진 빗살 모양이고, 갈래는 선형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대 끝에 1개씩 달리며, 붉은색 또는 흰색을 띤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로 난형이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더보기
풀잎이슬 풀잎에 맺힌 이슬 눈물방울 같은 이슬 오래도록 맺혀 있을 줄 알았는데 어느새 사라지고 없다. 지금 내 가슴속 눈물 남몰래 감추고 있는 눈물 한평생 갈 것 같은 이 눈물도 풀잎의 이슬같이 마를 날 있으리. 풀잎의 이슬같이 - 정연복 더보기
雨요일에.. 무섭게 비가 내린다. 번개불이 번쩍~하면 경천동지할 천둥소리에 몸이 움츠러든다. 여름장마가 별 강우량없이 끝나더니 가을장마가 요란하다. '처서 전후로 비가 내리면 독 안의 든 쌀이 줄어든다’는 옛 속담이 있다는데 그 동안 잘 자라던 곡식이 이 불규칙한 강한비에 피해를 보는것은 아닐까? 공연히 마음이 뒤숭숭한 8월 하순의 주말이다. 더보기
새팥 여우팥과 비교 - https://blog.daum.net/dreamer418/5231 더보기
제이줄나비, 노랑나비, 네발나비 더보기
여우구슬 #2 이렇게 익어갑니다... 더보기
자귀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자귀풀속 서식지 논, 습지 학명 Aeschynomene indica L.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전국의 논이나 습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세계적으로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으며, 높이 60-80cm다. 잎은 어긋나며, 짝수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은 10-20쌍이고 선상 장타원형, 양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7-9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협과로 편평하고 6-8개의 마디가 있으며, 성숙하면 분리된다. 더보기
파리풀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파리풀과(Phrymaceae) 학명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 Hara 본초명 노파자침선(老婆子針線, Lao-Po-Zi-Zhen-Xian), 투골초(透骨草, Tou-Gu-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40~80cm 정도이고 약간의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부분이 두드러지게 굵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5~10cm, 너비 4~7cm 정도의 난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9월에 수상꽃차례에 피는 꽃은 연한 자주색이다. 삭과는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독이 있어 나물로 먹으면 안 된다. 더보기
결실 (어저귀) 어저귀 꽃보기 - https://blog.daum.net/dreamer418/517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