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결실 (물봉선) 옛날 올림포스(Olympus) 궁전에서 연회가 열렸을 때 참석한 신들에게 대접할 황금사과 한 개가 없어졌다. 손님으로 온 장난기 많은 에로스(Eros) 신이 숨겨 놓았기 때문인데 손님들에게 음식을 나르던 한 요정이 의심을 받아 도둑으로 몰리게 되었다. 이 요정은 자신의 결백을 밝히려 간곡히 호소했지만 결국 누명을 벗지 못하고 산골짜기 물가로 쫒겨나고 말았다. 그리고 이 요정은 끝내 자기의 누명을 벗지 못하고 병이 들어 그만 숨을 거두게 되었다. 사람들은 이 요정이 불쌍해 냇물과 가까운 골짜기에 묻어 주었는데 다음 해 무덤가에서 아름다운 꽃, 물봉선이 피어났고 그 열매는 누명을 쓴 요정이 자신의 결백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씨주머니를 터트려 속을 보여 준다는 전설이 전해져온다. - 웹 - 더보기
해국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Aster sphathulifolius Maxim. 상록성 반관목성 혹은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해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20~40cm 정도이고 비스듬히 자라며 기부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지만 밑부분의 것은 모여 난 것처럼 보이고 잎몸은 길이 3~12cm, 너비 1.5~5.5cm 정도의 주걱형 또는 도란형으로 양면에 섬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7~10월에 피는 두상화는 지름 3.5~4cm 정도이고 연한 자주색이다. 종자는 11월에 익고 관모는 갈색이다. ‘단양쑥부쟁이’와 달리 잎은 털이 많고 넓은 주걱형이며 두화가 크다. 바닷가에서 잘 자라며 어린순은 식용하.. 더보기
미국가막사리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도깨비바늘속 서식지 들판, 강가, 습지 학명 Bidens frondosa L. 국내분포 중부 이남 해외분포 북아메리카, 유럽, 중국(귀화)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전국의 들에 자라는 한해살이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사각형이며, 높이 100-150cm이다. 줄기 속은 흰색이며, 겉은 붉은 갈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3-5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피침 모양으로 길이 3-13cm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잎자루가 있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원추상으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차례는 길이 6-10mm인 혀모양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인꽃싸개조각은 6-12개이.. 더보기
배초향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꿀풀과(Lamiaceae) 학명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 Kuntze 북한명칭 방아풀 본초명 곽향, 광곽향, 배초향, 산곽향, 토곽향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양지 바른 전석지나 들에서 자란다. 집 근처에 심어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근경에서 나온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지고 네모가 진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5~10cm, 너비 3~7cm 정도의 난상 심장형으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7~10월에 피는 윤상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자주색이다. 열매는 길이 2mm 정도의 도란상 타원형이다. ‘벌깨덩굴’과 달리 위쪽 수술이 밑을 향하고 밑의 것은 위를 .. 더보기
가시여뀌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Polygonaceae) 학명 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 Gross ex Mori 북한명칭 별여뀌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50~10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은 화경과 더불어 적색의 선모가 밀생한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6~12cm, 너비 2~6cm 정도의 넓은 피침형으로 얕은 심장저이며 뒷면 맥 위에 짧고 가시 같은 털이 있다. 잎자루가 있으며 초상의 턱잎은 막질이고 길이 1cm 정도이고 맥 위에 가시 같은 털이 있다. 7~9월에 개화하며 꽃은 연한 홍색이고 꽃차례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달리며 화경이 갈라져서 끝에 꽃이.. 더보기
높은 하늘아~! 더보기
들깨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쥐깨속 서식지 양지바른 들 학명 Mosla punctulata (J. F. Gmel.) Nakai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타이완, 베트남, 일본, 중국 양지바른 들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20-60cm, 가지가 갈라지고, 네모가 진다. 잎은 마주나며, 두껍고, 난형 또는 긴 난형, 길이 2-4cm, 폭 1-2.5cm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한쪽에 6-13개 있다. 잎 양면은 잔털이 난다. 꽃은 8-9월에 피며, 가지 끝에서 이삭꽃차례처럼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위쪽 3갈래와 아래쪽 2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의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2갈래로 갈라진 후에 위쪽은 2갈래, 아래쪽은 3갈래로 다시 갈라진다. 열매는 소견과이다. 우.. 더보기
이삭여뀌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Polygonaceae) 학명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본초명 금선초(金線草, Jin-Xian-Cao), 야료(野蓼, Ye-Liao), 해각초(蟹殼草, Xie-Qiao-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군락으로 나오는 줄기는 높이 50~100cm 정도로 마디가 있으며 전체에 긴 털이 있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7~15cm, 너비 4~8cm 정도의 도란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는 흔히 흑색의 반점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3cm 정도이다. 7~9월에 개화하며 길이 20~40cm 정도의 수상꽃차례에 드문.. 더보기
나도송이풀 분류 현삼과 서식지 산과 들의 양지바른 풀밭 학명 Phtheirospermum japonicum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번식 종자 생활사 한해살이풀 송호, 초백지, 나도송이라고도한다. 산과 들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30~60cm이다. 줄기는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고 곧게 서며 가지가 많다. 잎은 마주나고 삼각상 난형이며 갈라진 조각은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은 자줏빛을 띤다. 꽃은 8~9월에 연한 홍자색 꽃이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열매는 난형으로 삭과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더보기
결실 (좀닭의장풀) 분류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닭의장풀목 > 닭의장풀과 > 닭의장풀속 서식지 들, 산기슭의 풀밭 학명 Commelina coreana H. Lév.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중국(만주) 들이나 산기슭의 풀밭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연하며, 마디가 굵다. 잎은 좁은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아래는 막질의 잎집으로 된다. 잎집 위에 연한 털이 있다. 꽃은 청색으로 7-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에 몇 개가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포엽은 넓은 심장 모양이고 겉에 흰색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3장이고 타원형이다. 꽃잎은 2장이 크고 1장은 작다. 수술은 2개가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다. 가는잎닭개비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중국에 .. 더보기
이고들빼기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et Kawano 북한명칭 고들빼기 본초명 약사초(藥師草, Yao-Shi-Cao) 1년 또는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야의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30~9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지고 자주색이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개화기에 없어지고 어긋나는 경생엽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잎몸은 길이 3~9cm, 너비 3~6cm 정도의 난상 타원형으로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둔한 톱니가 있다. 8~10월에 산형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0.8~1.2cm 정도로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3.5mm 정도의 타원형으로 .. 더보기
투구꽃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초오속 서식지 낙엽활엽수림 내, 개울가 학명 Aconitum jaluense Kom. 국내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자루는 곧고 퍼진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고, 겉에 털이 있다. 꽃.. 더보기
주름조개풀 분류 식물 > 단자엽식물 > 벼과(Poaceae) 학명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P. Beauv. var. undulatifolius 본초명 구미초(求米草, Qiu-Mi-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산이나 들의 나무그늘 밑에서 잘 자란다. 줄기의 높이는 15~30cm 정도로 밑부분이 옆으로 벋으면서 뿌리가 내려 퍼지고 군생하는 경향이 있다. 잎몸은 길이 4~8cm, 너비 10~15mm 정도의 피침형으로 주름이 지며 잎집과 더불어 털이 있다. 잎혀는 매우 짧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8~9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로서 가지가 갈라지고 밀착한 소수는 대가 거의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호영은 길이 3mm 정도로 짧은 까락이 있고 까락에 점액이 생겨서 .. 더보기
고마리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Polygonaceae) 학명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 Gross ex Nakai 본초명 극엽료(戟葉蓼, Ji-Ye-Liao), 수마료(水麻廖, Shui-Ma-Liao) 마디풀과에 속하는 1년생초. 원산지는 아시아이고, 들이나 냇가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m이다. 꽃의 색깔은 연한 분홍색과 흰색이 섞여 있으며, 꽃말은 ‘꿀의 원천’이다. 조선꼬마리, 큰꼬마리, 줄고만이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더보기
결실 (누리장나무) 꽃보기 - https://blog.daum.net/dreamer418/5168 더보기
개여뀌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Polygonaceae) 학명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북한명칭 여뀌 본초명 신채(辛菜, Xin-Cai), 어독초(魚毒草, Yu-Du-Cao), 택료(澤蓼, Ze-Liao) 6~9월에 붉은 자줏빛과 흰빛으로 섞여 피는데 가지 끝에 길이 1~5cm의 수상 꽃차례를 닮은 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꽃이 달린다. 양성화이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개로 깊이 갈라진다. 8개의 수술과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씨방은 상위이다. 10~11월에 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윤기가 나는 흑갈색이고 세모지다. ↓ 며느리배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