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플.
한국 분포(경기(개성 천마산, 백운산 국망봉)
다년초로 줄기가 없고 전주(全株)에 잔털이 다소 있다.
잎은 뿌리 끝에서 총생하고 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다시 중렬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15㎝이고 전체 길이는 25~30㎝이다.
꽃은 5~6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고
뿌리 끝에서 산상(繖狀)으로 몇 개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6㎝ 내외이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겉에 5맥과 더불어 잔털이 있고 끝이 5열하며
열편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화관은 통상 순형으로 통부는 가늘고 길며
상순(上脣)은 활처럼 앞으로 굽고 끝이 약간 파진 듯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지고 모두 끝이 둥글며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산생(散生)한다.
수술은 2강웅예이고 과실은 삭과이다.
본종은 줄기가 없고 화경 끝에 홍자색의 꽃이 1개씩 달린다.
산지에 난다. 경기(개성 천마산, 백운산 국망봉)에 분포한다(특산).
<출처/한국기준식물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