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접사 2 (벌레. 곤충. 동물)

주홍긴날개멸구


정말 좁쌀만큼 작은 해충이다..


학명
Diostrombus politus 


동물 


절지동물 


곤충류 


매미목 


긴날개멸구과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
몸길이 약 3.9mm(배 끝까지), 날개 편 길이 8.8∼9.5mm 

몸의 빛깔
선명한 등홍색 또는 주홍색 

서식장소
건조한 산림지대의 칡 

분포지역
한국(천마산·내장산·보광산)·일본·타이완·중국 


매미목[同翅目] 긴날개멸구과의 곤충.
몸길이 약 3.9mm(배 끝까지), 날개 편 길이 8.8∼9.5mm이다.
몸은 전체가 선명한 등홍색 또는 주홍색이다.
정수리는 짧으며 양 옆가장자리가 솟아올라 중간 부분은 깊은 홈을 형성한다.
뒤쪽으로 약간 벌어지고 뒷가장자리는 약간 솟아올라 중간홈을 막는 것 같은 형상이다.
양 옆 융기엽은 홍색이나 그 바깥가장자리 선은 어두운 갈색이다.
머리방패는 굵고 길며 새의 부리처럼 튀어나와 있다.
앞쪽에서 보면 중앙에 굵은 융기선이 있고 그 양 옆에 가는 융기선이 1개씩 있다.

앞가슴등판의 양 옆부분은 넓으나 뒷가장자리가 포물선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작은방패판은 크고 볼록하며 광택 있는 등홍색이다.
그러나 뒤쪽 끝부분은 가로로 옴폭하고 뒷가장자리 부분은 연한 노란색이다.
앞날개는 매우 크고 연한 황갈색으로 투명하지만 앞 가장자리와 바깥쪽은 갈색이다.
뒷날개는 매우 작고 안쪽은 흰색이나 바깥쪽은 어두운 회색이다.
몸의 밑면은 모두 등홍색이나 각 다리의 종아리마디 이하는 회색 또는 어두운 회색이다.

건조한 산림지대에서 볼 수 있으며 칡에 기생한다.
6월부터 9월까지 나타나며. 성충의 경우 몸에 비해 날개가 매우 크지만 날지 않고 뛰어다닌다.
한국(천마산·내장산·보광산)·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주홍긴날개멸구 (두산백과)






















'접사 2 (벌레. 곤충. 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무산누에나방  (0) 2019.09.07
산호랑나비 애벌레  (0) 2019.09.07
죽음의 덫  (0) 2019.08.16
우렁알  (0) 2019.07.11
흰무늬왕불나방  (0) 2019.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