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녀꽃대는 제주도와 남부지방 숲에 사는 다년초 식물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이나 양지에서 자라며 토양 비옥도가 좋아야 한다.
키는 15~40㎝이고, 잎은 줄기 끝에 타원형으로 4장이 뭉쳐나고, 녹색이며 끝이 날카롭지 않다.
꽃은 흰색으로 4장의 잎 사이에서 꽃대가 올라오며
길이는 20~25㎝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는 6~7월경에 노란색이 도는 녹색으로 둥글게 달린다.
처음 발견된 장소가 거제도 “옥녀봉”이어서 옥녀꽃대라고 하였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남도지방에서는 이 꽃을
“홀아비꽃대” 혹은 꽃이 작고 잎이 크기 때문에 “과부꽃대”라고도 불렀다.
하지만 홀아비꽃대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어 이제는 정정하여 “옥녀꽃대”로 부르고 있다.
종자가 익는 시기가 6월경인데 종자가 결실되면 홀아비꽃대는 위로 솟구치지만
옥녀꽃대는 약 45~60도 정도 비스듬히 누워 있다.
그래서 종자가 익는 시기에도 구분이 가능한 꽃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옥녀꽃대 (야생화도감)